컨설팅펌 취업 :: 케이스인터뷰 유형 (2) 정량적 접근 & 정성적 접근
안녕하세요 이커리어입니다^^
지난 글에서 말씀드렸듯이,
아이비 케이스 시스템 등의 주제별 구분법에 의한 동일한 주제이더라도,
서로 다른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하는데요!
인터뷰어가 기대하는 문제 해결 방식이
정량적인지, 정성적인지에 따라
케이스인터뷰의 진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한가지 예를 들어보자면,
"신제품 출시 의사결정 문제"에서
정량적 접근방법이란,
예상 매출에서 예상 비용 및 자기잠식효과를 고려하여
예상 손익을 추정해보는 계산 순서를 따를 수 있는데요-
정성적 접근 방법이란,
먼저 시장의 매력도를 판단한 뒤,
고객 세그먼트별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
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자원 및 역량 확보가 가능한지를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집니다.
이때, 정량적 접근방식을 기대하는 인터뷰어에게 정성적 접근 방식으로 설명하거나
정성적 접근 방법을 원하는 상황에서 계속 수치 데이터만 물어보고 있으면
인터뷰어는 답답함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.
그럼, 정량적 문제와 정석적 문제 각각의 특징을 살펴볼까요?
[정량적 문제]
(1) 문제 상황이 특정 판단을 필요 (의사결정, 선택 문제 등)
(2) 구체적 수치 데이터가 주어짐
인터뷰어는 정량적 문제를 통해
지원자의 '분석능력' 및 '정량화 및 수치계산능력' 등을 평가합니다.
[정성적 문제]
(1) 오픈형 주제 (자유로운 전략수립, 원인 규명 등)
(2) 구체적 수치 데이터 대신 주로 '크다', '작다' 등 개념적인 정보들이 주어짐
인터뷰어는 정성적 문제를 통해
지원자의 '구조화능력', '가설수립 능력', '모호함에 대처하는 태도' 등을 평가합니다.
케이스인터뷰를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
반드시 정량적 문제와 정성적 문제를 나누어 다뤄봄으로써
각 유형별 대응에 어려움이 없게끔 충분히 연습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! :)
감사합니다!